이용주
Yong Ju Lee
b.1979
한국 South Korea, Lives and works in Seoul
경계의 집 House of Boundary
2022. 금속, MDF 합판, 한지, 400×360×240cm.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창제작 지원
2022. metal, MDF boards, Korean traditional paper “Hanji”, 400×360×240cm. Commissioned by ACC
<경계의 집>은 전통과 첨단을 건축적 시각으로 풀이해 표현한 작품입니다. 반투명 한지를 나무틀에 발라 외부와 내부 공간을 구분 짓는 창호는 아시아의 건축에서만 볼 수 있는 양식입니다. 창호 문살 중 꽃무늬를 새겨 만든 ‘꽃문살’은 예로부터 주로 모란, 국화, 연꽃무늬를 사용했습니다. 모란꽃 문양은 부귀에 대한 소망이 담겨 있고, 석류나 포도 문양은 다산과 풍요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국화 문양은 정결한 마음과 높은 절개를, 연꽃 문양은 군자의 청빈과 고고함을 나타냅니다. 이 작품은 수백 개의 다각형과 삼각형을 3차원 알고리즘을 통해 재배치하여 기둥과 벽체가 하나가 되도록 만들었습니다. 하나의 수식에서 만들어지지만 임의의 변수 값에 따라 분화된 이 도형들은 놀랍게도 같은 모양을 가진 것들이 없습니다. 이 작품은 안과 밖, 전통과 첨단 사이 모호한 경계를 새로운 시각으로 경험하게 합니다. 나아가 창호를 투과하여 내부 공간에 드리우는 빛은 개방성과 폐쇄성이 공존하는 안과 밖의 이중적 성격을 동시에 보여줍니다. 안과 밖은 언제나 바뀔 수 있습니다.
<House of Boundary> is a work that expresses tradition and high-tech from an architectural perspective. The window that separates the interior from the exterior by applying translucent Korean paper to the wooden frame is a style that can only be seen in Asian architecture. The 'flower door frame' made with flower patterns engraved on the window gate has been mainly made of peony, chrysanthemum, and lotus patterns since ancient times. The peony flower pattern contains the desire for wealth, and the pomegranate or grape pattern contains the meaning of fertility and abundance. The chrysanthemum pattern represents a pure heart and a high incision, and the lotus pattern represents the purity and elegance of the virtue. This work rearranges hundreds of polygons and triangles through three-dimensional algorithms to bring the columns and the walls together. These shapes, created from a single formula but differentiated by random variable values, are surprisingly no two alike. And the work invites visitors to experience the blurred lines between inside and outside, traditional and high-tech in a new light. Furthermore, the light that passes through the window and casts over the interior space shows the dual character of inside and outside where openness and closure coexist. The inside and outside can always change.
작가설명 Artist Biography
이용주는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건축가이다. 정보가 가진 패턴의 복잡성을 바탕으로 한 건축의 기하학적 표현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공간에 관련된 모든 부분에서 실험성을 추구한다. 일상생활에 자극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 작업들을 여러 스케일과 다방면의 매체를 통해 실험해 오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MMCA)과 뉴욕현대미술관(MoMA), 《베니스 비엔날레》 등의 전시 참여와 《대한민국 공공 건축상》, 《iF 디자인 어워드》, 《디자인 뱅가드》를 포함한 다수의 국내외 디자인상을 수상했다. 연세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건축을 공부하고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Yong Ju Lee is an architect who lives and works in Seoul, South Korea. He is interested in geometrical representation in architecture, and based on the complexity of patterns of information, he pursues experimental approaches in every field related to space. He has been trying experimental approaches to various types of designs, which can be a stimulus for everyday life via many types of media. He has been participating in exhibitions held in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Museum of Modern Art (MoMA), Venice Biennale, and others. Also, he received many awards, including the Korean Public Architecture Award, iF Design Award and Design Vanguard. He earned degrees from Yonsei University and Columbia University and is currently an assistant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